728x90

Node 3

[ yarn] npm 대신 yarn 사용하기

node에서 패키지 관리자로 npm 을 기본으로 자주 사용한다.기존에 나도 계속 npm 을 썼었는데, 뭔가 패키지들 사이의 관계가 자주 꼬이는 것을 경험하여 속도도 더 빠르고 패키지간 관계도 더 정확하게 관리한다는 yarn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개의 패키지 관리 툴을 동시에 섞어 사용하다보면 오히려 패키지가 더 꼬여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중간에 사용하다가 변경하게 된다면 싹 지우고 재설치를 하는 것이 좋다. 1. npm 사용npm을 사용할 때 명령어는 npm install 하면 된다.npm installpackage.json 파일을 토대로 node_modules폴더를 만들면서 안에 패키지를 저장하는데,저장하면 package-lock.json 파일을 만든다.혹시나 yarn 을 사용하다가 npm 을..

React/Node 2025.05.14

[Node] TypeOrm - Oracle Db 사용 시 Slow Query Timeout 방법

React - node (express)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운영중인데,조회 쿼리가 엄청나게 오래 걸려서 서버 connection pool이 꽉 차서 에러가 발생하는 일이 생겼다. 조회 쿼리를 수정해서 지금은 그런 문제는 없지만만약을 방지하기위해서 일정 시간 이상 걸리는 조회쿼리의 경우 db connection을 끊어서 쿼리 실행을 취소시키는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다. 그런데 찾아보니 typeorm을 사용하는 경우 oracle db 에서는 세션을 kill 하지 않는이상 실행중인 쿼리를 중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세션을 kill하는 방법은 너무 위험하기도 하고 권한이 필요해서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찾게 되었다. 찾아보던 중 typeorm을 사용하지않고 직접 oracledb를 사용해서 ..

React/Node 2024.10.21

Node express - frontend에서 넘어오는 request 본문 크기 제한 설정방법

React - node (express)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운영중인데,프론트쪽에서 request를 넘겨주는 부분에서 너무 큰 데이터를 넘겼다고 에러가 발생했다. PayLoad Too Large error 였는데 너무 큰 본문을 요청해서 발생한 에러였다.알고보니 request에서 json 데이터를 넘겨줄 수 있는 데이터 제한은 디폴트값이 100KB라고 한다.그래서 이부분을 늘려주기위해서는 백엔드에서 main.ts파일에 limit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import * as bodyParser from 'body-parser'; // body-parser ..

React/Node 2024.10.16
728x90